Coréen
Le coréen est une langue parlée en Corée, dans les districts frontaliers de la république populaire de Chine (Yanbian) et dans les communautés émigrées (notamment au Japon, en Chine (Pékin, Shandong), en Russie, en Australie, aux États-Unis, en France, etc.), et est la langue officielle de la Corée du Nord et de la Corée du Sud. Si le coréen était anciennement considéré comme un isolat,,,, les études les plus récentes considèrent qu'il fait partie des langues coréaniques, dont il est le seul survivant[10]. Aucun lien de parenté avec d'autres familles de langues n'a été confirmé et leur classification est controversée. L'hypothétique famille altaïque, dont les langues coréaniques font parfois partie, est très controversée[11]. Quelques similitudes avec le japonais ont été relevées[12]. L’alphabet qui sert à écrire le coréen est le hangeul, créé au XVe siècle et devenu officiel au XIXe ; les hanja (sinogrammes employés dans cette langue) sont également utilisés, une assez grande partie du lexique étant d’origine chinoise (du moins hors du vocabulaire courant). La langue s'étend sur un territoire comparable à celui de l'Italie, environ 301 000 km2, dont environ 220 000 km2 pour les deux Corée réunies, environ 42 000 km2 pour la préfecture chinoise de Yanbian (province de Jilin) et le reste en partie sur trois autres provinces chinoises.Le coréen est une langue parlée en Corée, dans les districts frontaliers de la république populaire de Chine (Yanbian) et dans les communautés émigrées (notamment au Japon, en Chine (Pékin, Shandong), en Russie, en Australie, aux États-Unis, en France, etc.. C'est la langue officielle de la Corée du Nord et de la Corée du Sud. Si le coréen était anciennement considéré comme un isolat,,,, les études les plus récentes considèrent qu'il fait partie des langues coréaniques, dont il est le seul survivant[10]. Aucun lien de parenté avec d'autres familles de langues n'a été confirmé et sa classification est controversée. L'hypothétique famille altaïque, dont les langues coréaniques sont parfois considérées comme faisant partie, est très controversée[11]. Quelques similitudes avec le japonais ont été relevées[12]. L’alphabet qui sert à écrire le coréen est le hangeul, créé au XVe siècle et devenu officiel au XIXe ; les hanja (sinogrammes employés dans cette langue) sont également utilisés, une assez grande partie du lexique étant d’origine chinoise (du moins hors du vocabulaire courant). La langue s'étend sur un territoire d'environ 301 000 km2 (équivalent à la surface de l'Italie), dont environ 220 000 km2 pour les deux Corée réunies, environ 42 000 km2 pour la préfecture chinoise de Yanbian (province de Jilin) et le reste sur trois autres provinces chinoises.
Source : Wikipedia francophone
한국어(韓國語, 문화어: 조선말 )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이다. 둘은 표기나 문법에서는 차이가 없지만 표현에서 차이가 있다. 세계 여러 지역에 한민족 인구가 거주하게 되면서 전 세계 각지에서 한국어가 사용되고 있다. 2016년 1월 초 기준으로 한국어 사용 인구는 약 8,000만 명으로 추산된다. 역사 및 현대 언어학자들은 한국어를 고립어로 분류한다. 그러나 한국어와 제주어(제주도에서 사용되며 구별되는 것으로 간주됨)와 함께 한국어족을 구성하던 몇 개의 사어가 한 때 존재했다.[10] 일부 언어학자들이 한국어를 알타이 제어에 포함시켰지만 오늘날 알타이 제어설은 사전적 지지를 대부분 상실했다.[11]한국어(韓國語), 조선말(朝鮮말)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이다. 둘은 표기나 문법에서는 차이가 없지만 표현에서 차이가 있다. 세계 여러 지역에 한민족 인구가 거주하게 되면서 전 세계 각지에서 한국어가 사용되고 있다. 2016년 1월 초 기준으로 한국어 사용 인구는 약 8,000만 명으로 추산된다. 역사 및 현대 언어학자들은 한국어를 고립어로 분류한다. 그러나 한국어와 제주어(제주도에서 사용되며 구별되는 것으로 간주됨)와 함께 한국어족을 구성하던 몇 개의 사어가 한 때 존재했다.[10] 일부 언어학자들이 한국어를 알타이 제어에 포함시켰지만 오늘날 알타이 제어설은 사전적 지지를 대부분 상실했다.[11]한국어(韓國語), 조선말(朝鮮말)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이다. 둘은 표기나 문법에서는 차이가 없지만 동사 어미나 표현에서 차이가 있다. 세계 여러 지역에 한민족 인구가 이주하여 거주하자 전세계 각지에서 한국어를 사용한다. 2016년 1월 초 기준으로 한국어 사용 인구는 약 8,000만 명으로 추산한다. 역사 및 현대 언어학자들은 한국어를 고립어로 분류한다. 그러나 한국어와 제주어(제주도에서 사용하며 구별한다고 간주함)와 함께 한국어족을 구성하던 몇 개의 사라진 언어(사어)가 한 때 존재했었다.[10] 일부 언어학자들이 한국어를 알타이 제어에 포함하였지만, 오늘날 알타이 제어설을 더 이상 지지하지 않는다.[11]한국어(韓國語), 조선말(朝鮮말)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이다. 둘은 표기나 문법, 동사 어미나 표현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세계 여러 지역에 한민족 인구가 이주하여 거주하자 전세계 각지에서 한국어를 사용한다. 2016년 1월 초 기준으로 한국어 사용 인구는 약 8,000만 명으로 추산한다. 역사 및 현대 언어학자들은 한국어를 고립어로 분류한다. 그러나 한국어와 제주어(제주도에서 사용하며 구별한다고 간주함)와 함께 한국어족을 구성하던 몇 개의 사라진 언어(사어)가 한 때 존재했었다. 일부 언어학자들이 한국어를 알타이 제어에 포함하였지만, 오늘날 알타이 제어설을 더 이상 지지하지 않는다.[10]
Source : Wikipedia local
Carte

Source : Wikidata
Article premier de la déclaration universelle des droits de l'homme
article premier de la Déclaration universelle des droits de l’homme (voir le texte en français) 제 1 조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인간은 천부적으로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하여야 한다. Translittération 쇼걸 Modeun inganeun taeeonal ttaebuteo jayuroumyeo geu joneomgwa gweollie isseo dongdeunghada. Inganeun cheonbujeogeuro iseonggwa yangsimeul buyeobadasseumyeo seoro hyeongjeaeeui jeongsineuro haengdonghayeoya handa.
Source : Wikipedia francophone
Alphabets
- hanja
- hangeul
- alphabet latin
Codes de langue
SOURCE | Code | URL |
---|---|---|
code iso 639-1 de la langue | ko | |
Code iso 639-2 | kor | |
Code iso 639-3 | kor |
Source : Wikidata